CEO
CEO&Leadership
C-LEVEL
VIEW
FOCUS
TIME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SPECIAL REPORT
VIVID
LIFE
역지사지
우리 사회에서 보수와 진보의 갈등은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역사적, 이념적 차이에서 비롯되며 정치뿐 아니라 경제·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보수는 전통과 안보, 시장중심 정책을 중시하고 진보는 개혁과 평등, 복지확대를 강조한다. 이런 차이는 대북 정책, 역사인식, 사회문화 이슈 등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세대·지역 간 차이도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이며 이로 인해 정치적 양극화와 사회적 분열이 지속되고 있다. 지난해 말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령 발표와 이에 따른 탄핵 결정은 정치적 긴장을 극대화시키는 계기가 됐고 이후 조기대선에서 진보 성향의 이재명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갈등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특히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특별사면은 정치적 통합을 위한 조치라는 평가와 정권의 편향성을 드러낸 결정이라는 비판이 동시에 제기되며 사회적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런 사건들은 한국 사회에서 보수와 진보가 단순한 이념대립을 넘어 정치·사법·사회 전반에 걸쳐 깊은 불신과 반목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념적 차이를 존중하면서도 협치와 통합의 정치문화를 만들어가는 노력이 요구된다. 갈등은 때로는 사회발전의 동력이 되기도 하지만 극단적인 대립과 혐오로 이어질 경우 사회 통합을 저해하고 정치적 불신을 심화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한다. 그래서 보수와 진보의 건전한 경쟁과 공존을 위해 다양한 해결 방안이 필요하다. 먼저 정치권은 상대 진영에 대한 무조건적 비난과 정쟁 중심의 태도에서 벗어나 정책 중심의 실용정치로 전환해야 한다. 국회와 정부는 대화와 타협을 통해 국민의 삶을 개선할 수 있는 실질적 협치 모델을 제시해야 하며 이를 통해 정치에 대한 국민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 또 교육 현장과 시민사회에서는 다양한 이념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는 민주시민 교육이 강화돼야 한다. 언론도 사실 위주 보도를 통해 사회통합을 위한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해야 한다. 특히 가짜뉴스와 편향 보도에 대한 책임 있는 자세가 요구된다. 중도와 실용을 지향하는 정치세력이 자라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선거제도 개혁과 정치참여의 문턱을 낮추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하며 세대와 지역 간 인식 차이를 줄이기 위한 적극적 소통 노력도 필요하다. 이런 다각적 노력들이 병행될 때 한국 사회는 이념 갈등을 넘어 다양성과 공존을 바탕으로 한 성숙한 민주주의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이 시점에서 심각하게 보수와 진보의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은 미국과 프랑스, 브라질의 사례를 반추해볼 필요가 있다. 미국은 보수와 진보 간 정치적 대립이 심화되면서 정부 기능이 마비되는 등 사회적 분열을 겪었고 프랑스에선 노동자권리와 사회복지정책을 둘러싼 갈등으로 사회불안이 여전하다. 브라질은 진보와 보수의 갈등이 정치적 혼란과 부패문제로 이어지며 국민통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제 진정으로 역지사지의 정신이 필요할 때다. 서로를 악마화하는 극단적 대립과 갈등은 당장 멈춰야 한다. 그리고 이를 부추기는 정치인들과 그들의 추종자들은 이제 엄중한 책임을 져야 한다. 역사는 균형감각을 갖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보수와 진보의 갈등을 객관적으로 조명하고 평가할 것이다.
입력 2025. 09. 22. 08:51 AM
인기 있는 콘텐츠
준비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