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CEO&Leadership
C-LEVEL
VIEW
FOCUS
TIME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SPECIAL REPORT
VIVID
LIFE
한전 ‘AI 기반 고독사 예방 서비스’ 12명의 소중한 생명 살리다
<사진 한국전력> 한국전력 본사 사옥
자체 AI 기술 활용 서비스 개발로 사회복지공무원 업무 약 86% 감축 전국 84개 지자체와 협력, IoT 센서 등 기기설치비용 약 6,900억원 절감 한국전력공사(사장 김동철)는 첨단 AI 기술과 빅데이터 분석을 융합한 ‘AI 고독사 예방 서비스’를 통해 지난 8일 현재까지 12명의 소중한 생명을 구조했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전국 84개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약 1만여명의 돌봄 대상자에게 제공되며 사회적 고립으로 인한 안타까운 사고를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전력·통신·수도 등 생활데이터 AI로 정밀 분석, 이상징후 감지시 사회복지공무원에게 SMS로 위험상황 전달 ‘AI 고독사 예방 서비스’는 전력, 통신(SK텔레콤, KT), 수도(수자원공사) 등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생활데이터를 AI로 정밀하게 분석해 이상징후를 감지하면 지자체 사회복지공무원에게 SMS로 위험상황을 알리는 서비스다. 가장 큰 특징은 별도의 IoT 센서나 CCTV 같은 추가 장비 설치 없이 기존 인프라를 활용, 대상자의 심리적 거부감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작동시킨다는 점이다. 한전은 연간 3,300억건에 달하는 AMI(지능형 검침 인프라) 데이터를 활용해 사회안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왔고 이를 위해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자체 보유한 AI 기술력을 바탕으로 1인 가구의 생활패턴을 분석해 고독사 예방 서비스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또 통신 및 수도 사업자의 참여를 이끌어내 데이터 융합·분석으로 서비스의 정확도를 높였다. 실제 울산시 남구에선 전력 및 통신사용량 급감 이상신호 감지 후 현장을 방문, 의식불명 상태인 58세 남성을 병원으로 긴급 이송해 생명을 구했다. 또 전북 남원시에선 90세 치매환자의 생활반응 데이터 이상징후를 포착해 현장 출동했고 2차선 도로 한가운데를 걷고 있던 환자를 안전하게 구조했다. 해당 서비스는 사회복지공무원의 업무효율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한다. 전화 안부 확인 및 방문 업무를 약 86% 감축시켜 업무부담을 줄였고 기존 IoT 센서나 기기설치 방식 대비 약 6,900억원의 비용절감효과까지 창출했다. 상반기 중 LG유플러스와 협력 추진하고 사회보장정보원, 네이버 등 다양한 기관과의 협업 통해 서비스 더 고도화 1인 가구 증가추세에 따라 ‘AI 고독사 예방 서비스’의 중요성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발맞춰 한전은 상반기 중 LG유플러스와의 협력을 추진하고 앞으로 사회보장정보원, 네이버 등 다양한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서비스 기능을 더 한층 고도화할 계획이다. 한전은 앞으로도 전국으로 서비스를 확대해 더 촘촘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고 전력데이터를 활용한 혁신적인 고객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굴해나갈 예정이다.
입력 2025. 04. 15. 00:40 AM
인기 있는 콘텐츠
준비 중입니다.